본문 바로가기
한국학 이야기

[지리지5] 우리나라의 세계지도와 조선전도

by bookstory 2008. 12. 23.

세계지도는 세계 전체를 담고 있는 지도와 중국일본을 포함해 동아시아를 담고 있는 지도가 있다. 대표적인 세계지도로는 1402(태종 2) 권근이회 등이 만든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混一疆理代國都地圖) 꼽을 있는데, 동쪽으로 조선과 일본, 서쪽으로 유럽과 아프리카까지 그린 지도는 당시 만들어진 세계지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지도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지도는 현재 일본 교토의 류코쿠대학(谷大學) 소장되어 있으며, 조선 초기 사람들의 세계지리 지식, 문화교류 정도 등을 파악할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조선 후기에는 천하도(天下圖) 』’라는 우리나라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형식의 세계지도가 많이 제작되었는데, 전통적인 세계관을 반영한 상상적 세계를 그린 지도였다. 지도의 내용을 보면, 천하의 중앙에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대륙과 그것을 둘러싼 바다가 있으며, 다시 이를 둘러싼 대륙과 바깥의 바다로 세계가 구성되어 있으며, 대륙과 바다에 150 개의 지명이 기재되어 있다.

 

지도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세계관과 우주관을 엿볼 있다. 한편 중국을 통해 들어온 테오리치의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 영향으로 17세기 이후에는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같은 서양식 세계지도가 제작되었는데, 이러한 지도들은 다루고 있는 지역범위와 윤곽이 오늘날의 세계지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하도 (18세기)


동아시아지도는 동아시아 전체를 그린 지도와 중국 또는 일본을 그린 지도로 구분할 있는데, 가운데 동아시아 전체를 그린 지도는 중국, 조선, 일본을 함께 그린 지도와 중국 중심의 지도 있다. 중국지도에는 중국전도역사지도지방지도 등이 있으며, 일본지도에도 전도와 지방지도가 있다. 이러한 세계지도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 서울역사박물,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일부는 도록으로 간행되어 있어 이를 활용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일본 龍俗大學 소장)


조선전도는
우리나라 전체를 그린 지도로, 팔도총도(八道總圖) 소축척전도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대축척전도가 있다. 소축척전도의 경우 대부분 낱장으로 되어 있는데, 정척양성지형 지도, 김수홍 제작지도, 정상기형 동국지도, 해좌전도, 대동전도 한말 근대식 전도가 에에 속한다. 대축척전도에는 청구도(靑邱圖) 대동여지도 목판본 필사본 지도와동여도등이 있다.


조선전도
제작의 시대적 흐름을 살펴보면, 조선 전기에는 정척 양성지 동국지도(東國地圖),신증동국여지승람 실린 팔도총도(八道總圖) 같이 소축척지도가 제작되었으나, 조선 후기 되면, 정상기 동국지도(東國地圖) (1750년대), 김정호 청구도(1834), 대동여지도(1861) 같은 대축척지도가 제작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팔도총도


정상기 동국지도 18세기 중엽 이후 제작된 선전도의 모델이 지도로, 백리척이라는 축척을 사용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김정호 대동여지도 모두 22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모두 연결하면 전국지도가 되는데 크기가 6.4m×2.73m 달한다. 지도는 조선시대의 어떤 지도도 따를 없는 장점들이 많았는데, 우 선 정확성이 뛰어났으며, 행정구역산맥하계망도로성곽역참봉수 등이 상세하게 수록

되어 있으며, 도로 상에는 10리마다 점을 찍어 지점간의 거리를 쉽게 측정할 있게 하였

.88) 때문에 대동여지도 19세기 후반 우리 국토의 전반적인 상황, 주요 지리적 사상 공간적인 배치와 위치 관계를 확인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있다. 특히 당시의 군현경계를 복원하는 기본 자료로 이용되며, 고지명의 비정과 성곽역참창고 등의 위치, 그리고 도로의 노선과 구간 거리 등을 복원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동여지도, 경기도 서해안 부분


이와 같이 지역문화 연구에 빼놓을 없는 자료인 대동여지도 1936년과 1985 례에 걸쳐 영인되어 보급되었다. 또한 디지털화한 대동여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 홈페이지에서 서비스해 주므로, 누구나 쉽게 내용을 확인하고 이용할 있다.

참고자료 <지역문화와 디지털 콘텐츠> - 저자 : 김현 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