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지3

[지리지4] 지도의 정의와 역사 지도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일부 또는 전체적인 지리정보를 사용목적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줄이고 각종 기호를 이용하여 평면상에 기록해 놓은 것이다.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도로는 터키 중서부 지방에서 만들어졌다는 기원전 6,000년경의 신석기시대에 만들어진 지도가 꼽히는데, 당시 사람들이 화산, 길, 집 등 주변 환경을 그린 것이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도는 기원전 2500년경 바빌로니아에서 제작된 것으로, 점토판에 산과 강, 촌락 등을 묘사하였다. 그 밖에 고대 이집트에서는 매년 나일강의 홍수로 인해 변화하는 농토를 분할하기 위해 파피루스로 만든 종이에 지도를 제작했다고 전해진다. 중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도 오래전부터 지도를 만들어 이용해왔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 최초의 지도가 제작되었다고 하.. 2008. 12. 23.
[지리지3] 일제강점기의 시‧군지의 의미 일제강점기에 한반도를 대상으로 작성된 향토지들은 한반도에 대한 일본 제국주의 정권을 지원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일제의 식민지가 된 우리나라는 근대적인 지방사 연구 및 편찬 분야에서도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위한 자료 제공이라는 목적에 의해서 시‧군지 편찬이 이루어진다. 일제의 식민 통치를 위한 기초조사사업은 그 기관별로 볼 때 중추원과 총독부 각 기관의 조사, 경성제국대학 연구팀과 그 밖의 지방행정 구역 단위 및 개인적 조사로 구분된다. 일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각종 제도와 관습에 관한 문화조사에 나서는 한편 현실 생활에 관한 조사에도 착수하였다. 즉 지역별 산업실태, 촌락구조, 각종 결사, 소작관습과 기타 민속에 관한 것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이전의 읍지와는 체제가 다른 근대적인 .. 2008. 12. 23.
[지리지1]지리지의 정의와 역사 지지(地志) 또는 지지(地誌)라고도 불리는 지리지(地理誌)는 일정한 지역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기록이다. 지리지는 자연지리적인 내용뿐 아니라, 역사‧문화‧사회‧경제‧정치‧행정‧군사 등과 같은 인문지리 내용까지 풍부하게 담고 있어, 지리지가 담고 있는 시대와 지역의 모습을 이해하려는 연구자에게 최적, 최다의 정보를 제공한다. 조선시대까지 간행된 지리지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약 1,000 종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 지리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부터 만들어졌다.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어떤지역의 자연조건과 그 위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기술하는 저술이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동양에서도 중국을 중심으로, 행정과 군사, 재정 등의 측면에서 통치자에게 지리적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지리지가.. 2008.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