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주지1 [지리지2] 지리지의 유형 지리지는 편찬주체와 지역범위에 따라 두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관찬지리지와 사찬지리지로 구분할 수 있다. 관찬지리지는 국가기관에서 편찬한 지리지로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등이 있고 또 하나인 사찬지리지는 보통 지방의 유생이나 유지들이 개인적인 관심으로 편찬한 지리지이다. 사찬지리지는 16~7세기에 다양한 읍지가 편찬되었다. 사찬지리지는 『문소지, 『제주풍토록』, 『연안부지』, 『함주지』, 『해주읍지』, 『송도지』 등이 있다. 16~7세기에 제작된 사찬읍지는 지방 유지들과 같이 관찬읍지를 만들어 그 내용이 대동소이하다. 전국규모의 사찬지리지로는 유형원의 『동국여지지』, 김정호의 『대동지지』 등이 있다. 지리지는 지역 범위에 따라 전국지리지와 지방지리지로 구분할 수 있는.. 2008. 12. 23. 이전 1 다음